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feature scaling
- lol api
- regression
- overfitting
- MySQL
- 한빛미디어
- 주피터 노트북 테마
- Linear Regression
- 데이터분석
- Python
- ubuntu
- 경사하강법
- Machine Learning
- 주피터노트북
- 주피터테마
- 모두를 위한 딥러닝
- Udacity
- 딥러닝
- 주피터노트북 커널 목록
- 회귀분석
- pandas
- deep learning
- random forest
- Git
- deeplearning
- 주피터노트북 커널 제거
- 나는리뷰어다2021
- 주피터노트북 커널 추가
- GitHub
- jupytertheme
- Today
- Total
유승훈
제 40회 SQLD 합격 후기(+정리자료) 본문
2021년 3월 20일 실시된 40회 시험에 응시했습니다. 보통 전공자는 2주, 비전공자는 1달정도 공부하고 합격하시는 듯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대략 1주일정도 공부했습니다. 개괄적인 후기를 작성한 뒤에, 혹여나 시험을 준비하는 와중에 이 글을 보실 분들을 위해 끝에 개인적인 생각을 짧게 써보고자 합니다.
저는 정치외교학과 주전공, 응용통계학과를 복수전공 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관련한 수업은 2개 정도 수강했고, 직접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본 경험도 있습니다.
시험 신청이나 응시 자격 확인 등 관련된 정보는 www.dataq.co.kr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시험 교재로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만든 SQL 전문가 가이드 책이 있습니다.
이 책인데요, 2020년 버전과 2013년 버전 두 개가 있습니다. 당연히 최근에 나온 2020년 버전이 최근 시험 내용에 더 적합할 것이라 생각해서 학교 도서관에서 빌렸는데, 막상 와서 보니 시험 내용은 아직 2013년 버전과 동일했습니다. 그래서 2013년 책을 다시 빌렸다는..
전문가 가이드 책을 보면서 13일부터 17일까지 개념정리를 했습니다. 컴퓨터로 정리하면서 공부했고, 한 단원의 정리가 끝나면 아이패드로 줄 그어가면서 머리 속에 넣는 방식으로 공부했습니다.
17일부터 19일까지는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를 풀었습니다.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노랭이"라고도 불리는 책이죠. 시중에 다른 문제집들이 많이 나와있지만, 이 책의 후기가 가장 좋은 것 같아서 선택했습니다. 한국데이터진흥원에서 만든 책이기도 하니까요.
실전문제 책은 문제를 빠르게 풀고, 틀리거나 헷갈린 문제 밑에 해설이나 관련 내용을 써서 계속 돌려봤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5-6번은 본 것 같습니다.
날짜 |
내용 |
2021.03.13 ~ 17 |
SQL 전문가 가이드 책으로 개념 정리 |
2021.03.17 ~ 19 |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 풀고, |
2021.03.20 |
시험 |
그리고 이 글을 쓰고 있는 4월 16일 아침에 결과가 발표 났는데요
좋은 점수는 아니지만 어쨌든 합격하게 되었습니다. 복수전공 하고 있는 응용통계학과에서 졸업시험 면제 조건 중 하나가 SQLD인데, 졸업시험을 따로 준비하지 않아도 될 것 같네요.
시험을 준비하면서 든 느낌들을 정리하자면,
1. 개인적으로는 수능볼때 영어 EBS 연계문제 푸는 느낌이 났습니다.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에서 봤던 문제가 많이 나온 것 같습니다. 물론 처음보는 문제도 있었습니다.
2. SQLD 준비하시는 분들의 오픈카톡방 같은게 있어서 잠깐 들어가있었는데, 유의미한 도움이 되는 것 같지는 않았습니다.
3. 다른 분들이 개념정리해서 올려둔 것을 활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전문가 가이드 책과 함께 보면서 개념정리를 한번 하고, 노랭이라고 하는 자격검정 실전문제 책을 여러번 보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4. 과목2의 최적화 기본원리는 사실 잘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비중있어 보이지는 않아서 포기할까도 생각했는데, 개념적인 내용은 한번 쭉 보면서 외우고, 실전문제 책 문제의 해설을 계속 보는 방식으로 공부했습니다.
5. 경험이 없으신 분들께는 직접 쿼리를 날려보시면서 공부하는게 좋아보입니다. 시험에서 쿼리나 예시 데이터를 보고 데이터가 어떻게 흘러가겠다/처리되겠다하는 흐름이 머리속에 그려져야하기 때문입니다.
제가 공부하면서 정리했던 파일입니다. 깔끔하게 정리한건 아니고 그냥 슥슥 보면서 머리속에 넣는 용도로 정리한 것이니 감안해서 활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과목1은 크기가 커서 두 개로 분할압축되어있습니다.
앞으로 시험 보시는 모든 분들도 열심히 공부하셔서 좋은 결과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화이팅!